JSP (3) 썸네일형 리스트형 JSP 3일차 저장 영역 Scope JSP 에서는 데이터 저장 시 공유하는 열역 들이 있다. 이 영역들은 데이터를 "언제까지 가지고 있는지" 를 중심으로 구분할 수 있다. Action Tag scriptlet 은 유용하긴 하지만 페이지가 복잡해 보인다. 개발자 들은 scriptlet을 최소한으로 쓰지 않기 위한 노력들을 하게 된다. Action Tag - forward Forword 는 특정 페이지로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한다. 같은 기능인 Redirect 화는 몇가지 차이점이 있다. Action Tag - include 는 를 대체하기 위해 나왔다. JAVA bean scriptlet 을 최소화 시키려 하는 이유는 JAVA LOGIC 과 HTML 을 분리 시키기 위해서 이다. JAVA BEAN 을 이용하면 JAVA C.. JSP 2일차 내장 객체 Server 와 Client 간에는 request(요청) 와 response(응답) 가 오고간다. 그렇기 때문에 request 객체와 response 객체는 빠질 수 없는 핵심 객체이다. JSP에서는 두 객체처럼 자주 사용하는 객체는 따로 선언하지 않도록 내장 객체로 만들었다. Request 객체 Request 객체는 Client 로 부터 온 요청에 관한 정보를 다룬다. Scriptlet 으로 출력되는 정보를 java script 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. java script 의 변수에 값 을 넣어줄 시 왜 (' ')로 감쌌는지 생각해보자 Out 객체 & Response 객체 Out 객체 out 객체는 서버에서 페이지로 output Stream 하는 기능을 한다.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페이지에 .. JSP 1일차 JSP란? JSP 란 Java Server Page 로 server 와 client 간의 request 와 response 를 JAVA로 하면 코드가 복잡하기 때문에 간단하게 처리하기 위한 sctipt 언어이다. 그리고 TOMCAT 이라는 WAS 를 통해 JSP 를 JAVA 코드로 자동 변환해준다. TOMCAT을 설치 후 Project 를 만들고 나서 실행 시키면 404에러가 나온다. 이유는 무엇일까? 이유는 Server 폴더의 web.xml 안에 부분을 보면 index.jsp가 들어가 있는것이 보일것이다. 그 파일을 찾을 수 없어서 404에러가 나는것이다. JSP 기본 순수 JSP 만으로 이루어지는 개발 방식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. 하지만 JSP 의 사용법을 이해하면 PHP,ASP 등의 다른 스크립트.. 이전 1 다음